[보건복지부] 중앙부처에 '젊은 피' 수혈로 국정운영에 활기 불어넣는다!
- 9개 부처·위원회에 역량 있는 젊은 인재 우선 등용 후 확대방안 검토
- 진입장벽 낮추기 위해 '별정직 5급 공무원'으로 채용
- 젊고 유능한 '2030 자문단'도 구성해 정책 결정 과정에 참여
- 약속을 지키는 대통령, 공정과 상식에 부합하는 구체적 계획 제시
정부는 국정 전반에 청년세대의 인식을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고
청년이 직접 정책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청년 정책 전담조직을 설치한 9개 부처(기재·교육·행안·문체·복지·고용·국토·중기부, 금융위)에
대선 당시 제시한 ▲'청년보좌역'을 배치하고 ▲'2030 자문단'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청년보좌역'은 각 부처·위원회의 장관실에 배치되어 독립적으로 근무하며,
청년세대의 인식을 주요 정책에 반영하는 핵심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청년보좌역'은 만 19세 ~ 만 34세 청년을 대상으로 '공개모집'을 통해 이뤄질 전망이며,
공정한 절차를 거쳐 별정직 5급 상당 공무원으로 채용할 예정입니다.
이는 새정부 국정철학을 반영한 대목으로, 전문임기제 등 일반직 공무원으로 채용하게 될 경우
진입장벽이 높아지는 점을 우려해 '별정직 5급'으로 채용합니다.
아울러, '2030 자문단'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된 청년들의 참여를 도모하고
청년들의 인식과 의견을 청년보좌역에 전달하는 가교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2030 자문단'의 경우, 만 19세 ~ 만 39세 MZ세대를 중심으로
청년보좌역 포함 20명 이상으로 구성되며, 부처별 특성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됩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조속한 시일 내 9개 부처·위원회의 직제를 개정하고,
국무총리 훈령을 제정하여 '청년보좌역'과 '2030 자문단' 운영기반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책 결정 과정에서 소외됐던 청년들의 참여를 대폭 확대하여
청년들의 목소리가 국정전반에 반영될 수 있도록 심도있게 논의해왔다며,
공정과 상식에 부합하는 여건으로 유능한 젊은 인재들의 많은 지원을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원문 출처 : 보건복지부 누리집(www.moh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