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인천공항 주차 빈자리 찾기 고민 끝! 주소기반 주차내비게이션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빈 주차자리 찾는다
- 주소기반으로 인천공항 주차장 공간정보구축하고 실내측위정보 수집해
주차장 내비게이션 '인천공항 주차내비' 앱 서비스 제공
- 2월 24일(월) 인천공항에서 시연회 개최
< 주차내비게이션 활용 사례 > ㄱ씨는 연휴에 부모님을 모시고 해외 효도관광을 떠나기로 했다. 가족들과 떠나는 첫 해외여행이라 설레기도 했지만, 출발 당일 너무 넓고 복잡한 공항주차장에 주차를 하느라 시간이 오래 걸릴까 걱정이 됐다. ㄱ씨는 ‘인천공항 주차내비’ 앱이 출시됐다는 뉴스를 본 기억이 있어 주차내비게이션을 실행시켜 공항주차장으로 가니 전체 주차장 중에 빈자리가 어디인지 파악할 수 있었고, 빈 주차자리까지 길안내를 해 주어 항공편 출발시간에 늦지 않게 도착할 수 있었다. |
앞으로 인천공항에서 주차자리를 찾느라 시간이 소요되는 불편함이 대폭 해소될 전망이다.
이와 관련해 행정안전부는 '주소기반 인천공항 주차내비게이션' 시연회를
인천국제공항에서 2월 24일(월) 개최하고 본격적으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인천공항 주차장 공간정보를 토대로 빈 주차자리까지 안내해주는 서비스로
'2024년 주소체계 고도화 및 주소기반 혁신산업 창출을 위한 공모'로 선정됐다.
행정안전부는 인천공항 내 '주소기반 주차내비게이션'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 주차장 2만7천개의 주차면까지 표현되는 주차장의 지도를
공간정보로 구축했다.
또한, 지하주차장과 터미널 실내에서 내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실내측위정보*도 수집했다.
* 실내측위정보 : GPS 신호가 약한 실내에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정보 9종(GPS, 모바일통신데이터, Wifi, 블루투스, 지자기장, 기압, 가속도, 각속도, 방위)
행정안전부와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주차장 공간정보, 실내측위정보와
인천국제공항 주차관제시스템을 연계하여 주차구역과 실내 목적지까지 안내해 주는
'인천공항 주차내비*' 앱도 제작했다.
*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단기주차장 지하2층~지상1층(3400면) 내비 안내 가능
'인천공항 주차내비' 앱은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누구나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상용 내비게이션 앱은 통상 건물의 주차장 입구까지만 안내하지만,
'인천공항 주차내비' 앱은 인천공항 지하 주차장의 개별 주차구역까지 안내하고,
주차를 완료하면 터미널 내의 상점이나 수속 카운터까지 실내 길찾기 기능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주차내비'를 통해 빠르고 신속한 주차가 가능해지고,
주차시간이 단축되면 탄소 배출량 절감 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그동안 행정안전부는 주소정보를 활용해
▲드론배송, ▲자율주행 로봇배송, ▲주차정보 구축, ▲자율주행차 주차,
▲실내내비게이션 실증 등 신사업 창출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해 왔다.
주차정보 구축 분야 개발을 위해
▲세종시 중앙공원주차장 자율주행차 주차실증('21)
▲세종시 공영주차장 자율주행차 주차실증('22)
▲충북 청주 자율차 테스트베드에서 다지점 호출 자율주행자 주차실증('23)
▲충북 음성 실내·외 연계 자율주행자 주차실증('23)
▲전남도청 주차장 원거리 자율주행차 주차실증('23) 등을 수행했다.
행정안전부는 기존 시범사업을 수행한 결과와 인천공항 주차내비게이션 사업의
추진 상황을 토대로 국토교통부·한국교통안전공단 등 관계기관과 지속 협의해
'주차면 주소부여 지침'과 '주차면 주소데이터베이스 구축 지침'을 마련하여
표준안을 제정할 계획이다.
김민재 차관보는
"주소기반 혁신산업을 발굴하고 신산업 창출을 지원하기 위해 많은 시범사업을 수행했다"라며
"앞으로 주차내비게이션 서비스를 비롯해 주소정보 데이터가 다양한 신산업과 연계되어
국민의 삶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주소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출처 :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