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미래산업·안보의 게임체인저, 양자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민·관 협력방안 모색
-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 글로벌 양자생태계 진단 및 양자업계 민관협의체 개최
- 퀀텀 이니셔티브(’24.4) 및 추진전략(’25.3) 등 정책 실현을 위한 전문가 의견 청취
- 특히, K-퀀텀 점프 전략 추진 및 주요 선진국과의 국제협력 전략 등 논의
기획재정부 신성장전략기획추진단(단장 신상훈, 이하 추진단)은 6월 26일(목),
양자기술 분야 최고 수준의 국제행사인 「퀀텀코리아 2025*」를 방문하여,
양자기술이 가져오는 미래상, 산업계 기술개발 동향 및 글로벌 양자생태계 혁신 흐름 등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AIST 등 연구기관,
양자기술 기업** 등과 함께 양자기술 관련 민관협의체를 개최하였다.
* (기간/장소) ’25.6.24~26 / aT센터 (주요 내용) 학술대회, 전시‧산업, 대중강연, 국제협력 등
** (소부장) SDT, (컴퓨팅) 메가존클라우드, 팜캐드, (통신) LGU+, 아이디퀀티크, (센싱) 엑스닷츠, (퀀텀AI) LG전자
양자기술은 국가의 미래 경제·사회·안보 등 전 분야*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미래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 양자시장 규모는 약 23.4억 달러(약 3.3조원) 수준이나,
'33년까지 약 246억 달러(약 34조원)로 10배 가까이 성장할 전망이다.
* 제약‧화학, 에너지, 자동차, 금융, AI, 항공‧우주, 교통‧물류 등
이에 대응하여, 미국, 유럽, 일본, 중국 등 주요 강대국들은 양자과학기술의 범용성과
파괴력에 주목해 범국가적 발전 전략 수립과 대규모 R&D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 주요 선진국 정책 및 투자 동향 > ▶ (미국) 국가 양자 이니셔티브 수립(’18.12, ’23.11), 5년간(’19~’23) 39억 달러 투자 ▶ (EU) 양자 플래그십(’18.10) 및 호라이즌 유럽(’21.1) 수립, 3년간 13억 유로 투자 ▶ (일본) 양자 이노베이션 전략(’20.1) 등에 기반한 양자AI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 목표(210억엔 이상 투자) ▶ (중국) 제14차 국가과학기술혁신계획(’20.11) 등에 따라 대규모 투자로 허페이 양자에비뉴 등 산업 육성 추진 * 출처: 퀀텀 이니셔티브 추진전략(’25.3월, 관계부처 합동) |
이번 간담회는 「퀀텀 이니셔티브」발표('24.4), 「양자기술산업법」시행('24.11),
「퀀텀 이니셔티브 추진 전략」발표('25.3월) 등 제도적·정책적 노력 이후
산업현장에서 기업이 체감하는 정책의 효과와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간담회에 참석한 기업들은
① 양자 소부장 활용 및 지원 확대
② 고급 인재의 양자산업 유입 촉진
③ 양자 컴퓨팅 인프라 구축 등
규제 개선 및 정부 투자 확대 등 사항에 대해서 건의하고,
퀀텀 이니셔티브 정책 등 정부 정책의 적극적인 추진과 산업계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요청하였다.
아울러, 혁신 선도형 첨단 산업구조의 대전환을 위한 양자산업의 역할과
주요 선도국과의 국제협력 강화를 통한 전문인력 양성 방안 등에 대해서도
산·학·연 전문가들과 논의를 이어나갔다.
신상훈 단장은
"양자과학기술 및 산업은 다가올 미래에 경제·안보·사회 전 분야에 있어
엄청난 파급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전략적 분야로 정부의 흔들림 없는 정책 추진과
과감한 투자를 통해 기술 패권을 선도해야 한다"라고 강조하며
"이번 민관협의체 간담회를 통해 도출된 다양한 의견을 바탕으로
글로벌 양자과학기술 선도와 국내 양자 생태계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www.moe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