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뉴스/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30년 국채선물 상장, 16년 만에 신규 국채선물 도입

- 초장기 국채 현물의 거래 활성화 및 원활한 발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
- 김언성 재정관리관, "30년 국채선물이 시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도록
   거래실적 PD평가 반영 등 적극 지원하고, 필요시 추가 조치 강구

 

2.19(월), 30년 국채선물시장이 개장하였다. 
3년('99년)·5년('03년)·10년('08년) 국채 선물에 이어 16년 만에 30년 국채선물을 도입함에 따라, 
초장기 국채투자에 따른 금리변동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 
초장기 국채거래 활성화와 원활한 발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채선물: 국고채를 표준화된 시장(한국거래소)에서 장래의 특정 시점에 일정한 수량을 
                  계약 시에 정한 가격으로 인수도할 것을 약속하는 거래

김언성 기획재정부 재정관리관은 같은 날 한국거래소 서울사옥에서 열린 상장기념식에 참석하여
"우리 국채선물시장은 '99년 출범 이후 세계 6위 시장으로 성장하며
국채현물시장의 발전을 뒷받침해 왔다."고 연급하면서 
"30년 국채선물 상장으로 단기물-장기물-초장기물까지 선물상품을 완비하여 
국채시장 발전을 위한 또 하나의 디딤돌을 마련하였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정부는 한국거래소와 함께 30년 국채선물이 시장에 빠르게 안착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면서, 
"시장조성자 제도 운영, 거래수수료 한시 면제에 더하여 국고채전문딜러 평가에
30년 국채선물 거래실적을 반영하고, 필요시 추가 조치도 강구하겠다."고 언급하였다. 

아울러, 김 재정관리관은 
"30년 국채선물의 기초자산이 되는 30년 국채 현물의 안정적 발행과
유동성 제고 노력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올해부터 시장 유동성이 떨어지는 경과물을 흡수하고 30년 지표물을 신규 공급하는
교환 규모를 월 5천억원으로 확대"하였으며, 
"필요할 경우 경과물 중에서 시장 수요가 많거나 물량이 부족한 종목을 추가 공급하는
재발행 제도도 적극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www.moe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