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처 합동,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 발표
산업부, 국토부, 환경부 등 관계부처는 10.22일 「수소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방안」을 수립·발표하였다.
수소차 보급목표에 따른 수소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인프라를 확충하고, 전국 곳곳에 수소충전소를 구축하여
수소사회를 앞당긴다.
수소 인프라
수소 생산 방식 다양화, 저장·운송 인프라 확충을 통해 증가되는 수소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고,
수소 가격을 지속 안정화한다.
2022년 수소차 6.7만대 보급목표 달성시, 연간 약 3만톤의 수소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지역별 특화된 방식의 수소 생산 및 저장·운송 방식을 통해 수요에 적절히 대응할 계획이다.
또한, ‘수소유통센터’ 설치를 추진하여 적정 수준의 수소 가격을 유지·관리하고,
장기적으로 대용량 튜브트레일러 제작, 파이프라인 건설, 액화 운송 확대 등을 통해
시장 중심의 수소 가격 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수소충전소
2022년까지 주요 도시 250기, 고속도로·환승센터 등 교통거점 60기 등 총 310기의
수소충전소를 구축하며, 이 중 86기(누적, 착공포함)를 ’19년 말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등록자동차 수, 인구 수, 지자체 면적, 수소차 보급대수, 교통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광역지자체별로 균형 있게 수소충전소를 구축함으로써 수소차 운전자가 최대 30분 이내에
충전소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며, 고속도로 등 교통거점에도 충전소를 구축하여
수소차의 장거리 운행을 지원하고,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장기적으로는 2030년까지 누적 660기를 구축하여 주요 도시에서 20분 내, 고속도로에서 75km 내
충전소 이용이 가능하도록 배치하고, 2040년에는 누적 1,200기를 구축하여 이를 15분, 50km 이내로 단축할 예정이다.
경제성ㆍ편의성ㆍ안전성
이와 함께, 수소충전소의 속도감 있는 확산과 안심하고 수소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수소충전소의 경제성, 편의성, 안전성을 적극적으로 제고할 예정이다.
수소충전소 구축 초기에는 구축 목표 달성과 원활한 충전 서비스 제공을 위해 정부 재정 지원을 적극 검토하고,
융복합ㆍ패키지형* 수소충전소 확대, 핵심부품 국산화 지원 등을 통해 입지ㆍ구축비용 부담을 완화한다.
* (융복합) 기존 주유소·LPG충전소·CNG충전소에 수소충전소 구축, (패키지형) 충전소 설비를 컨테이너 안에 배치하여
설치 간소화
수소차 이용자가 충전소 운영현황, 대기차량·시간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양방향 정보제공 플랫폼을
10월 중 구축하고, 충전 속도를 향상한 충전소 모델을 개발하여 수소 충전 대기시간을 절감한다.
아울러, 수소충전소의 안전에 대해서는 법·기준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강화하고,
수소 안전관리 전담기관을 설치하여 철저하게 관리할 계획이다.
이번 방안을 통해 전국 각지의 수소 공급 인프라 및 충전소 구축 계획이 구체적으로 제시됨으로써
지자체와 민간 사업자, 수소차 이용자의 수소경제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http://blog.koreamoi.com/)
'대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재정부] 고객 갑질 더 이상 못참아! 감정노동자 보호법 (0) | 2019.10.23 |
---|---|
[강소기업뉴스]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와 국가유공자 취업지원 강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0) | 2019.10.23 |
[강소기업뉴스] 사회복무요원 UCC 및 웹툰 공모전 개최 (0) | 2019.10.22 |
[국토교통부] 가을 단풍에 퐁당~! 전국 단풍여지도 스팟 4 (0) | 2019.10.22 |
[강소기업뉴스] 낙원악기상가, 사일런트 디제잉 파티 개최 (0) | 2019.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