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간정보

[국토교통부] 공간정보 새싹기업, '차세대 대표기업'으로 키운다 ··· 국토부 성장도약패키지 출범 - 19일부터 공간정보 성장도약패키지 참여기업 모집 ··· 대기업·VC도 성장 지원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공간정보 분야의 유망 창업기업을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5월 19일부터 6월 13일까지 '제1기 공간정보 성장도약패키지'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국토교통부가 예산을 지원하고 한국국토정보공사가 주관하는 '공간정보성장도약패키지'는 유망 창업기업의 성장 기반을 마련하고, 공간정보산업의 지속가능한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해 출범됐다. 7년 미만(신산업 분야의 경우 10년 미만)의 창업기업이라면 누구나 상생누리 플랫폼(https://www.winwinnuri.or.kr)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K-STARTUP 창업지원포털(https://www.k-startup.go.kr)의.. 더보기
[국토교통부] 우주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우리강산 - 9일부터 국립세종수목원과 함께하는 국토위성 특별 사진전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국토위성 1호가 촬영한 아름다운 우리강산의 모습과 국내 우주산업기술의 현황을 담은 「우주에서 바라본 아름다운 우리강산」사진전(국토발전전시관, 1월)을 2월 9일부터 국립세종수목원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 (기간/장소) ‘23. 2. 9.(목) ∼ 2. 26.(일) /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 이번 국토위성영상 사진전은 국립세종수목원에서 개최중인 '나의 초록 우주' 특별전*과 연계하여 그간 국토위성 1호**가 촬영한 국내 명산 등 총 15점의 작품과 국토위성 모형이 상설 전시(09:00~17:00, 매주 월요일 휴관)되며, 국립세종수목원 사계절전시온실에서 관람이 가능하다.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공기정화식.. 더보기
[국토교통부] 민간기업도 공개제한 공간정보 활용할 수 있게 된다 -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을 보안심사전문기관 지정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한국국토정보공사와 공간정보산업진흥원을 "공개제한 공간정보 보안심사전문기관"으로 지정(6.15)하였으며, 아울러, 공개제한 공간정보를 활용하고자 하는 민간 기업*에 대한 보안심사업무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양 기관과 6월 21일 보안심사업무 위탁협약도 체결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공간정보산업법」에 따른 공간정보사업자, 「위치정보법」에 따른 위치정보사업자 이번 보안심사전문기관 지정 및 업무위탁 협약은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및 하위법령 개정('22.3.17. 시행)에 따른 후속 조치로, 신산업* 발전을 위해 관리기관(중앙행정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이 보안심사를 거쳐 민간 기업에 공개가 제한된 공간정보**를 제공할.. 더보기
[국토교통부]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5건 선정·발표 - 올해 말까지 선정모델 분석·설계 추진, 내년까지 개발 완료 목표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는 사회문제 해결, 공공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 5건을 최종 선정(6.3)하고 이를 개발하여 수요기관에 보급할 계획이라고 7월 9일 밝혔다.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은 행정기관의 정책·의사결정 지원을 위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표준화한 분석모델로, 이 표준분석모델은 타 기관에서 유사업무 수행 시 참조·활용할 수 있어 비용절감 및 데이터 기반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사회현상·환경 및 다양한 상호 관계를 분석하고 과학적 정책·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15년부터 행정기관 등과 함께 생활SOC 분석 등 총 39건.. 더보기
[국토교통부] 우리 동네에 가장 필요한 생활SOC는? 공간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에서 확인하세요 - 공공정책 업무 활용 공간빅데이터 표준분석모델(10종) 개방 국토교통부(장관 변창흠)는 공공정책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빅데이터 기반의 표준분석모델을 개발하고 누리집을 통해 누구나 열람할 수 있도록 공개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공간(空間) 위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사회현상의 의미와 상호관계를 분석하고, 과학적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간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개발('14)·운영해 왔으며, 특히, 20년 5월부터 한국판 뉴딜 주요과제 중 하나인 "디지털 뉴딜"정책의 활성화를 위하여 20년 5월부터 플랫폼을 일반에도 개방하였다. 이를 통해 민간기업, 연구소, 대학 등에서 고가의 소프트웨어(S/W) 없이도 빅데이터 분석·활용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소셜분석(트위터, 뉴스, 블로그 분석) 및 통계분석도 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