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뉴스/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다중운집인파사고, 민관 협력으로 예방 중심 안전관리 강화한다

- 9개 중앙부처, 지자체, 민간전문가 등 참여한 '다중운집인파사고 정책협의체' 운영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다중운집인파사고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한 '다중운집인파사고 정책협의체'를 구성하고,
11월 26일(화) 첫 회의를 개최했다. 
* 중앙부처(행안・교육・문체・산업・국토・해수・중기부, 경찰・소방청), 
  지자체(서울·부산·경기), 민간 전문가 등 25인 이내로 구성

'다중운집인파사고 정책협의체'는 다중 안전 체계를 점검하고 보완하라는
대통령 지시(제46회 국무회의, 10.29.)에 따라, 
예방 중심의 다중운집인파사고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 현황조사 → 계획수립 → 사전점검 →모니터링·대응

 

이날 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행정안전부는 정책협의체의 역할 및 주요 안건(제도개선, 교육·훈련 등),
개최 주기(반기별 정례회의 개최) 등 정책협의체 운영계획을 공유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부처별 소관 법령 상 다중운집인파사고 예방을 위한
사전점검, 안전관리계획 수립 등 법·제도 개선사항*을 제언했다. 
* 다중운집행사 기준 보완, 안전관리계획 효율화, 안전관리요원 전문성 확보 등

이 외에도, 서울연구원에서는 보행량 예측 및 인파밀집 위험도 분석을 통한
맞춤형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서울 성동구는 대규모 행사 시 관할 경찰서의 경비업 배치 신고사항 공유 등
정보협력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홍종완 사회재난실장은 
"인파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각 기관이 책임감을 갖고 소관시설과 지역 내
위험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정책협의체 운영을 통해 기관별 인파사고 대비·대응 역량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원문 출처 :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