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개 중앙부처, 지자체, 민간전문가 등 참여한 '다중운집인파사고 정책협의체' 운영
행정안전부(장관 이상민)는 다중운집인파사고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민·관이 함께 참여*한 '다중운집인파사고 정책협의체'를 구성하고,
11월 26일(화) 첫 회의를 개최했다.
* 중앙부처(행안・교육・문체・산업・국토・해수・중기부, 경찰・소방청),
지자체(서울·부산·경기), 민간 전문가 등 25인 이내로 구성
'다중운집인파사고 정책협의체'는 다중 안전 체계를 점검하고 보완하라는
대통령 지시(제46회 국무회의, 10.29.)에 따라,
예방 중심의 다중운집인파사고 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 현황조사 → 계획수립 → 사전점검 →모니터링·대응
이날 회의에서 논의된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다.
행정안전부는 정책협의체의 역할 및 주요 안건(제도개선, 교육·훈련 등),
개최 주기(반기별 정례회의 개최) 등 정책협의체 운영계획을 공유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부처별 소관 법령 상 다중운집인파사고 예방을 위한
사전점검, 안전관리계획 수립 등 법·제도 개선사항*을 제언했다.
* 다중운집행사 기준 보완, 안전관리계획 효율화, 안전관리요원 전문성 확보 등
이 외에도, 서울연구원에서는 보행량 예측 및 인파밀집 위험도 분석을 통한
맞춤형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을,
서울 성동구는 대규모 행사 시 관할 경찰서의 경비업 배치 신고사항 공유 등
정보협력 우수사례를 발표했다.
홍종완 사회재난실장은
"인파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각 기관이 책임감을 갖고 소관시설과 지역 내
위험요인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며,
"정책협의체 운영을 통해 기관별 인파사고 대비·대응 역량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원문 출처 :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
'정부뉴스 > 행정안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안전부] 재난에 강한 기업, 국민을 안전하게 (0) | 2024.12.16 |
---|---|
[행정안전부] 행정안전부, 전국 지자체에 지역 민생안정 추진 협조요청 (1) | 2024.12.09 |
[행정안전부] 앞으로 5월 15일은 '세종대왕 나신 날', 5월 27일은 '우주항공의 날'이 됩니다 (2) | 2024.11.19 |
[행정안전부] 재난안전영상으로 국민의 일상에 안전을 더하다 (4) | 2024.11.07 |
[행정안전부] 인공지능(AI)시대, 지속가능한 미래정부를 위한 글로벌 협력 논의 (2)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