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뉴스/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 개최

- 미래 대한민국, 청년 인재와 공공기관이 함께 그립니다

 

기획재정부 1.14(화)~1.16(목) 3일간 서울 양재 aT센터에서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를 개최하여
주요 공공기관들의 2025년 채용규모와 채용일정 등을 소개할 계획이다. 


< 2025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 개요 >

▸ (일시/장소) ‘25.1.14(화)~16(목) / 양재 aT센터  
    * 박람회 홈페이지(www.publicjob.kr)에서 온라인 생중계 및 다시보기 제공
 
▸ (참여기관) 143개 공공기관 
 
▸ (주최/주관/후원) 기획재정부 / 한국조세재정연구원 / 고용노동부

 

올해로 15회차를 맞이한 「공공기관 채용정보박람회」는 공공기관 취업을 준비하는
구직자들에게 채용 관련 정보 및 취업비결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행사로서, 
매년 140여개 주요 공공기관과 4만여 명의 취업준비생이 참가하는
정보공유 및 소통의 장으로 자리잡았다. 

이번 채용박람회는 역대 최초로 3일간 개최하여 구직자들의 참가 기회를 확대하였으며, 
한국전력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철도공사, 건강보험공단, 중소기업은행 등 
143개 기관이 참여하여 보다 폭넓고 다양한 채용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윤상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의 양호한 고용동향에도 불구하고
청년층 등 고용취약계층의 어려움은 계속되고 있는 만큼, 
이들을 위한 공공기관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며
2025년 공공기관 신규채용은 2.4만명 이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아울러, '25년도 경영평가시에 청년 등 신규채용 확대를 위한 기관의 노력을 반영하고, 
신규채용 인원 중 고졸자 비율을 높이도록 하는 등 공공기관의 채용확대 노력이 강화되도록
적극 뒷받침 하겠다고 약속했다. 

올해는 기관별 채용설명회, 인성검사체험 등 인기가 높은 기존 프로그램 외에도 
고졸채용 전용 상담 부스*, 리버스 공개모의면접** 및
인공지능(AI: Artificial Intelligence) 면접 체험관 등 구직자들의 수요가 높은 프로그램이
다수 신설·운영될 예정이다. 
* 고졸채용 규모가 큰 20개 기관에서 상세한 고졸 채용 전문상담 제공
** 면접자가 구직자에게 질문하는 것이 아니라구직자가 면접자에게 역(Reverse)질문하는 방식

또한, 기존에 필기시험 만으로 구성되었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의 해설강의 추가를 비롯하여 
공개모의면접 기회를 확대하고, 
혁신도시 소재 공공기관에 특화된 맞춤형 취업전략을 제시하는 등 
구직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들을 다양하게 준비하여 
취업부담을 경감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 


< 참고 > 전년대비 달라지는 내용

▸ (구직 지원 프로그램 강화) NCS 해설강의 추가,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취업뽀개기’ 전략특강, 공개모의면접 기회 확대(912) 등 면접 컨텐츠 강화

 
▸ (신규 프로그램) 고졸채용 전용 상담 부스, 리버스 공개모의면접 및
AI면접 체험관 신규 개설

 
▸ (맞춤형 컨텐츠 확대) 맞춤형 1:1 올인원 컨설팅 강화(관심기관에 대한 정보 집중제공, 전문 컨설턴트 참여), 1:多 컨설팅 확대 진행

 

특히, 이번 행사에서는 입장권 팔찌에 인쇄된 정보무늬(QR코드: Quick Response Code)를 통해
박람회장 내 참여기관 부스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채용정보 안내책자(디렉토리북)도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참여자의 편의성을 대폭 확대하였다. 
또한, 구직자들에게 관심이 높은 참여기관별 채용정보(채용규모·시기 등)를 
홈페이지에 사전공개 하였고, 
청년층이 많이 보는 유튜브 쇼츠(shorts) 등 홍보영상도 제작·공개(3차례)하여
구직자들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였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온라인 생중계 및 다시보기를 제공하여
행사장에 직접 방문하지 못 하는 경우에도 참여가 가능하며,
기관별 채용정보가 담긴 자료 및 자주 묻는 질문사항 등은 박람회 홈페이지(www.publicjob.kr)에
게재할 계획이다.

이번 박람회가 청년 구직자들의 취업 역량 제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어
공공기관 '취업성공'의 마중물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www.moe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