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개발제한구역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
전기자동차 충전시설 설치 시 보전부담금 면제, 주택의 소규모 태양에너지 설비는 신고 후 설치 가능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3월 18일 국무회의에서
「개발제한구역의 지정 및 관리에 관한 특별조치법 시행령」(이하 '개발제한구역법 시행령') 개정안이 통과되어,
주민들의 생업 및 주거 불편사항이 개선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주요 개정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기존에는 개발제한구역(이하 'GB') 내에서 허가를 받아야만 설치할 수 있었던 태양에너지 시설이,
이제는 주택의 지붕과 옥상에 소규모(수평투영면적 50㎡ 이하)로 설치하는 경우에 신고만 하면
설치할 수 있도록 완화된다.
② 또한, GB 장기 거주자(지정당시거주자 또는 10년이상거주자)가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생업시설로 보아 보전부담금을 면제받을 수 있도록 개선된다.
* ‘24년 경기도 징수액 기준, 약 3천만 원 ~ 20억 원의 보전부담금** 부과
** (기존) ’불가피 입지시설‘로 분류, 부담금 부과율 130% → (개정) ’주민 생업시설‘로 분류, 부담금 면제
③ 이번 개정으로 근린생활시설 경영 기간 산정 기준도 완화된다.
환경 훼손 우려가 비교적 큰 음식점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5년 이상 음식점 외의 근린생활시설을 경영해야 하는데,
기존에는 5년을 채우지 못하고 공익사업으로 인해 이축*한 경우에는 이축 후의 경영 기간만 인정되었다.
* 건축물을 다른 장소로 옮기는 것을 의미하며, 개발제한구역법령에서는 공익사업으로 인해 기존 건축물을 철거하고 GB 내의 다른 장소로 이전하여 다시 짓는 경우를 일컬음
앞으로는 이축 전·후의 경영 기간을 합산하여 인정할 수 있도록 변경된다.
이는 공익사업으로 인해 경영이 중단되는 경우에도 경영자의 불이익을 줄일 수 있도록 개선한 조치이다.
④ 기존에는 공익사업으로 인해 처거된 건축물을 제외하고, 재난이나 사고 등으로 인해 멸실된 건축물을 근거로
이축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이로 인해 재해로 주택이 멸실될 경우, 해당 토지에만 다시 지을 수 있었고(재축 가능),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이 불가능했다.
이번 개정으로 인해 재해 발생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소유권을 확보한 토지*가 있다면,
그곳으로 건축물을 이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 즉, 재해로 인해 멸실된 주택의 경우, 기존처럼 같은 장소에서만 다시 짓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토지로 옮겨 건축하는 것도 허용된다.
* 새로운 진입로 및 간선공급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등 입지기준을 충족하는 토지만 해당
국토교통부 장구중 녹색도시과장은
"이번 개정을 통해 개발제한구역 주민의 실생활에서 불편을 줄이고,
친환경 에너지 이용 확대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이번에 개정된 「개발제한구역법 시행령」은 3월 25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원문 출처 : 국토교통부 누리집(www.molit.go.kr)
'정부뉴스 > 국토교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교통부] "주택시장 안정을 위한 다각적 조치 시행" 국토부·서울시 공조 강화 (0) | 2025.04.03 |
---|---|
[국토교통부] K-드론 경쟁력 높인다 ··· 국산화·기술력 우수사업자 인증제 시행 (0) | 2025.03.27 |
[국토교통부] '24년 PF조정위원회를 통해 72건, 21조원 규모 PF 사업 정상화 지원 (1) | 2025.03.10 |
[국토교통부] 내 열차 위치 확인부터 공항버스·렌터카 예약까지 한 번에 (0) | 2025.02.27 |
[국토교통부] 노후계획도시 정비, 대전에서 이어간다 ··· 대전시 "찾아가는 미래도시지원센터" 개최 (0) | 2025.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