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분기 무역기술장벽(TBT) 1,334건(12.0%↑), 사상 최대치 기록
'25년 1분기 세계무역기구(WTO) 회원국이 통보한 기술규제는 1,334건(12.0%)을 기록하여
분기별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였다.
금번 분기의 가장 큰 특징은 미국, EU, 중국 등 우리의 주요 3대 수출시장에서 규제가
평균 증가율보다 높은 20%이상 크게 증가한 점이다.
미국은 자동차 안전규제, 에너지효율규제를 강화*하고 화장품 제조시 독성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등
전년동기 29.4% 급증한 132건으로 1위를 차지하였다.
* 자동차 뒷자석 안전벨트 착용 경고시스템 도입 의무화, 중앙 에어컨 및 히트 펌프에 대한 테스트 절차 강화
중국은 화재장비, 전기조명 제품 등 생활용품·전기전자 분야 안전규제를 제·개정하여
23.4% 증가하였다.
유럽연합(EU)은 전기전자제품 내 특정 유해 물질 사용을 제한하고 승용·대형차의 형식승인 시험절차를
개정하는 등 전기 전자·자동차안전 분야의 규제 증가로 인해 2배 급증하였다.
그간 국가기술표준원은 주요 수출 상대국의 기술규제에 따른 애로를 해소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을 해왔으며,
이에 따른 올해 1분기 실적으로는 EU의 에코디자인 규정 내 외부전원공급장치 규제 대상에서
스마트폰 간 무선 충전 기능은 제외시켰으며, 인도 폴리프로필렌(PP) 규제와 관련해서는
인증 시행 시기를 유예하는 등 12건의 애로를 해소하였다.
국가기술표준원 김대자 원장은
"미국의 관세부과와 더불어 비관세장벽인 기술규제의 증가로 수출환경이 한층 악화되고 있어,
양·다자간 협상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기업의 TBT 애로를 적극 해소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최근 베트남은 전기자동차 충전 사용 장비 기술규정*을 발표('25.3.11)하였고
올해 6월 15일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의견수렴일은 4월 25일까지로 업계는 면밀히 검토 후 의견을 개진(KnowTBT.kr)할 필요가 있다.
* 전기자동차 충전장비에 대한 기술규정('25.6.15 시행) :
전기차 충전장비에 대한 안전, 통신, 라벨링 등의 기술요건과 적합성 인증 및 시험에 관하여 규정
원문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누리집(www.motie.go.kr)
'정부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통상자원부·주한인도대사관 공동 주최 한-인도 공동 성장 「인사이트 포럼」 열려 (1) | 2025.04.07 |
---|---|
[산업통상자원부] 관세파고 극복, 기술혁신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 (0) | 2025.03.31 |
[산업통상자원부] 급변하는 글로벌 통상환경 속에서 통상규제 대응 전략을 진단한다 (0) | 2025.03.20 |
[산업통상자원부] '25년 모빌리티용 수소 수급 상황 점검 (0) | 2025.03.14 |
[산업통상자원부] 한-아세안 경제·통상 협력 플랫폼 공식 출범 (0) | 2025.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