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뉴스/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2022년도 지식공유사업(KSP*) 우수 수행기관 선정

 Knowledge Sharing Program, 우리나라 경제발전경험을 토대로 한 협력국 맞춤형 정책자문

 

기획재정부는 '23년도 제1차 KSP추진협의회*(제1차관 주재)를 열어 
'22년 KSP 사업 우수 수행기관 6개를 선정하였다. 
* 기재부 1차관(위원장), 대외경제국장(간사)  KSP사업 시행 및 계획이 있는
  중앙
부처 및 기관으로 구성되며 KSP 추진방향 및 계획 수립, 사업성과평가 등 수행

< '22년 KSP 사업 우수 수행기관 >

NO 수행기관명 추진사업 사업구분
1 국토연구원 페루 리마 스마트시티 건립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지원
공동컨설팅
2 (주)도화엔지니어링 세네갈 해양‧하천 운항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설립 타당성조사
정책자문
3 (주)한국물류경제연구원
4 국제원산지정보원 페루 원산지 증명 관세시스템 구축 정책자문
5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6 현대경제연구원 파라과이 자동차 산업 육성 방안 정책자문


'22년에 수행한 42개 사업 중 총괄기관(KDI, 수은, KOTRA)이 항목별 평가한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평가하여 후보군을 추린 다음 민간전문가로 구성된 KSP사업평가단 위원 7인의 평가를 통해 
6개 기관을 최종 선정하였다. 

공정하고 정확한 평가를 위해 KSP실무협의회*의 결정을 통해 사업평가단을 구성하였으며, 
평가단은 추후에도 KSP사업의 평가·자문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계획이다. 
* 기획재정부 대외경제국장(주재), KSP총괄기관, 협력기관이 참여하여 추진협의회
안건 발굴 및 사전조정

 

KSP사업은 '04년부터 시작되어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경험을 바탕으로 
약 90여개 협력국에 특화된 1,500여개의 정책제언을 제공해 
협력국의 경제·사회 발전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KSP 사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협력국이 필요로 하는 맞춤형 정책 자문을 수행했는지, 
협력국의 현실을 반영하여 실제 적용가능한 정책제언을 담고 있는지에 대한 
피드백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있어 왔다. 

이에 KSP 사업 결과에 대한 평가 등을 통해 정책자문의 질을 높이고자 
KSP 사업 우수 수행기관 선정작업을 추진하였다. 

 

따라서, 이번 우수기관 선정은 적극적인 현지조사 및 현지정부와 네트워킹을 통해 
적실성 있는 연구결과를 만들었거나, 
후속 사업으로 연결되는 등의 가시적 성과가 있는 기관을 위주로 하였다. 

이 같은 평가과정을 통해 수행기관들의 정책자문들이 일회성 연구용역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 성과로 이어지게끔 유도할 계획이다. 

 

금번 우수기관 선정결과는 이후 정성평가 시 가산부여 등을 통해
추후 수행기관 선정에도 반영될 계획이다. 

이번 우수기관 선정이 KSP 사업 전반 정책자문의 질을 더욱 높이고, 
정책자문의 레퍼런스를 마련해 정책자문 전문기관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조성할 것으로 기대한다.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www.moe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