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3차 에너지 공기업 기술혁신 협의회 개최
- 산업부와 17개 에너지공기업, 연구개발(R&D)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
에너지 기술개발 정책의 효과적인 이행과 기술혁신을 앞당기기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 이하 산업부)와 17개 에너지 공기업이 손을 맞잡았다.
산업부 최남호 2차관은 12월 3일(화) 웨스틴 조선 호텔에서
산업부 산하 17개 에너지공기업*, 에너지기술평가원 등 유관기관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3차 에너지 공기업 기술혁신 협의회를 가졌다.
*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가스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원자력연료,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가스기술공사, 한전KPS(참관인)
이 자리에서는 산업부의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안)에 대한 의견 수렴과 함께
본 계획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한 에너지 공기업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참석자들은 내년 에너지 기술개발 예산 규모가 산업부의 경우 1.2조 원(잠정),
에너지 공기업의 경우 1.3조 원에 달하는 점을 주목하면서 보다 긴밀한 협력을 통한
효율적 예산 집행 필요성에 공감하였다.
이를 위해 17개 에너지 공기업과 에너지기술평가원은 향수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협력체계를 구축키로 하고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앞으로 각 기관들은 ① 제5차 에너지기술개발계획에 따른 정부와 공기업 연구개발(R&D) 협력
② 공기업 간 연구개발(R&D) 과제와 성과 공유
③ 정부와 공기업 간 연구 개발(R&D) 과제 기획 협력 강화 등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이어진 시간에 우수 사례 성과로서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전력기술**은
각각 이산화탄소 포집기술 분야에서 연구개발(R&D) 기술혁신 사례와
원자력 안전기술 분야에서 사업화 우수 사례를 발표하였다.
* LNG 발전 연계 CO2 포집 핵심기술 개발 및 대규모 격상설계(사업기간: ’21년~’25년)
** 해외 내진분석 기술기준을 적용한 설계초과지진 대응 기술개발(사업기간: ’19년~’23년)
최 차관은
"정부 정책 방향과 에너지 공기업의 투자 방향을 잘 조율해 투자 효율성을 높이고
기술혁신을 앞당기겠다"고 강조하고,
참석한 공기업 임직원들에게 앞으로 더욱 적극적인 협력 활동을 펼쳐줄 것을 당부하였다.
원문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누리집(www.motie.go.kr)
'정부뉴스 > 산업통상자원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업통상자원부] 규제혁신으로 수소 모빌리티 산업 이끈다 (1) | 2024.12.18 |
---|---|
[산업통상자원부] 지역 소재 대학과 중견기업, 현장 맞춤형 핵심인재 양성에 총력 다짐 (1) | 2024.12.11 |
[산업통상자원부] 통상법무 전문가와 함께 K-뷰티 해외진출 성공 전략 찾는다 (2) | 2024.11.20 |
[산업통상자원부] 삼성전자, 85개 기업에 128건의 특허를 나눔 (0) | 2024.11.12 |
[산업통상자원부] 초고압 직류송전(HVDC) 기술개발 및 산업화, 연내 청사진 예정 (0) | 2024.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