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 지자체 공공앱 대상 운영 성과를 측정해 공공앱 정비 추진
- 649개 공공앱 중 83개 앱 폐기 권고, 유지보수비 연간 약 11억원 절감
행정안전부는 284개* 행정기관에서 운영 중인 649개 공공앱을 대상으로
운영 전반에 대한 성과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공개했다.
* ‘24년 평가대상 기관(공공앱) : 34개 중앙부처(114개), 120개 지자체(284개),
11개 시‧도 교육청(21개), 119개 공공기관(230개)
'공공앱 운영 성과평가 제도'는 공공앱의 사용률을 높이고,
공공앱 관리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고하기 위해 2017년부터 매년 실시하고 있다.
※ 평가항목: ① 사용률(누적다운로드 등), ② 관리품질(업데이트, 만족도 등),
③ 접근성(하위OS 지원 등), ④ 민간앱 중복성
평가기준: ▲유지(70점 이상), ▲개선권고(70~60점), ▲폐기권고(60점 미만)
2024년 공공앱 운영 성과평가 결과 83개 앱이 폐기권고(12.8%)로 평가됐으며,
기관별로 각각 중앙부처 2개, 지자체 57개, 공공기관 24개다.
대표적으로 경남 합천군에서 운영하는 '합천군 전화번로 앱' 안내 앱은
2024년 다운로드 건수가 69회였으며,
2020년 이후 업데이트가 없었다.
그 외에 '은평구평생학습관'(서울 은평구, '24년 다운로드 249회),
'내고장 대구·경북 다시보기'(대구교육청, '24년 다운로드 73회) 등의 앱이 폐기 권고로 평가받았다.
폐기 권고된 공공앱은 2023년의 126개 대비 43개(△34%p)가 감소해
각 기관의 공공앱 관리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앱 운영 실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 각 기관이
폐기 권고된 공공앱을 실제로 폐기 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평가 결과대로 83개 공공앱이 폐기되면,
연간 약 11억 원의 앱 운영·유지보수 예산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평가결과의 세부 내용은 1월 24일(금)부터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정책자료>참고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용석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공공앱 운영 성과평가를 통해 기관의 앱 관리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면서,
"민간앱과 중복되는 공공앱 개발을 지양하여 혁신적인 민간앱 서비스가
더 많이 나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원문 출처 :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
'정부뉴스 > 행정안전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안전부] 필요할 때만, 보다 정확하게! 재난문자 서비스 개선된다 (0) | 2025.02.14 |
---|---|
[행정안전부] 민·관이 안전문화로 하나되다! (1) | 2025.02.07 |
[행정안전부] 겨울방학 맞아 우리 가족을 지키는 '안전'을 체험하세요 (0) | 2025.01.17 |
[행정안전부] 1월의 추천 공공서비스, 필요한 공구는 '공유누리'로 빌리고, 다양한 식품 정보는 '푸드QR'로 찾고! (2) | 2025.01.09 |
[행정안전부] 중앙과 지방이 협력해 2025년 민생안정과 국민 안전 챙긴다 (2) | 202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