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정신질환에 대한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제정된 정신건강의 날은
2017년부터 시행된 정신건강복지법에 따라 제정된 법정 기념일로 매년 10월 10일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대체적으로 약 50만명 내외의 중증정신질환자가 있으며 지역사회에서
생활하는 중증정신질환자는 약 42만명 정도인 것으로 추산됩니다.
정신질환은 조기진단과 지속치료로 관리가 가능한만큼, 정부는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오늘 따스아리에서 자세한 소식 확인하세요.
한국의 정신건강통합지수 현황
지난 2016년 아시아·태평양 15개 국가를 대상으로 정신건강통합관련 4가지 분야(환경, 치료접근성, 기회, 거버넌스)를
평가한 '정신건강통합지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5개 국가 중 75.9점으로 5위를 차지했습니다.
치료접근성이 83점으로 가장 높고, 환경 75점, 기회 72점, 거버넌스 72점으로 중상위국가들의 평균치와
비교했을 때, 치료접근성은 평균치보다 높으나, 정신질환자의 지역사회기회는 평균치보다 낮았습니다.
*출처: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briefing report(2016), 중앙정신건강복지사업지원단 정신건강동향
보건복지부는 지난 5월 정신질환자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고, 정신질환자가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인 치료와
재활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
조현병이나 조울증과 같은 정신질환은 주로 10대에서 성년기 초반에 발병하는 경향이 있어,
학업, 취업, 결혼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발병 초기에 집중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 발병 후 치료받지 않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뇌 손상과 기능 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증상 악화로
위험한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정신재활과 치료가 필요한데요.
정부는 지난 5월 이를 위해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정신응급상황에 24시간 대응합니다.
내년 중으로 각 광역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응급개입팀을 설치하고,
24시간 정신응급 대응체계를 유지할 계획입니다. 응급개입팀은 정신으으급 상황 시
경찰·구급대원과 함께 현장 출동하는 전문요원을 뜻합니다.
정신질환이 의심되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전문요원이 경찰과 함께 현장에 출동해서
위기상태를 평가하고, 대상자에 대한 안정을 유도하거나 적절한 응급치료로 이어질 수 있도록
조치하게 됩니다.
또, 올해 하반기부터는 자·타해 위험이 있는 정신응급환자를 24시간 진료할 수 있는
『정신응급의료기관』을 지정하고, 건강보험 수가시범사업도 실시할 예정입니다.
조기진단과 치료가 가능해집니다.
조기중재지원 사업을 도입하고, 병원기반 사례관리 시범사업을 시행합니다.
특이 민원사례 정례평가 및 보건-복지 통합 사례 관리도 시행합니다.
지속치료와 정신재활 지원을 강화합니다.
집중사례관리서비스를 도입하고 사례관리 인력을 확충합니다.
통합정신건강증진사업을 전국적으로 확대하고, 낮병원 활성화 시범사업도 시행합니다.
당사자와 가족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정신재활시설을 단계라 확충하게 됩니다.
작년 말 기준 전국에 348개소가 설치되어있는 정신재활시설의 경우 지역별·시설종류별로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어 각 지역의 수요를 구체적으로 조사하여 앞으로도 지속 확충할 계획입니다.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우선 조치방안』에 대한 자세한 내용▶https://blog.naver.com/mohw2016/221538440719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보호하며, 다함께 사는 포용사회를 만듭니다.
정신질환자의 인권을 보호하며 다함께 사는 포용사회를 만듭니다. 중증정신질환자 보호·재활 지원을 위한 ...
blog.naver.com
정신질환은 조기 치료와 지속적인 관리로 정상생활이 가능하고, 자해나 타해의 위험 상황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는 정신질환자가 지역에서 함께 안전히 살아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는 국립정신건강센터 홈페이지
국립정신건강센터 공식홈페이지
정신건강을 통한 국민행복실현!국민정신겅강센터가 함께 합니다. 정신건강을 통한 국민행복실현!국민정신겅강센터가 함께 합니다. 정신건강을 통한 국민행복실현!국민정신겅강센터가 함께 합니다. 정신건강을 통한 국민행복실현!국민정신겅강센터가 함께 합니다.
www.ncmh.go.kr
출처: 보건복지부 (https://blog.naver.com/mohw2016/221673933143)
'대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안전부] 독도의 도로명 주소를 아시나요? 독도는 우리땅! 주소만 봐도 알아요~ (0) | 2019.10.18 |
---|---|
[강소기업뉴스] 그루비, 마케팅 앤 테크놀로지 서밋 2019에서 개인화 마케팅을 진화시키는 AI의 역할 제시 (0) | 2019.10.18 |
[강소기업뉴스] EU ‘2019 유기농 식품 및 음료 전시상담회’ 11월 개최 (0) | 2019.10.17 |
[기획재정부] 청년·신혼부부 주목! 2019 3분기 행복주택 모집 (0) | 2019.10.16 |
[강소기업뉴스] 예술창작지원체계 개선 위한 ‘더 듣는 공청회’ 10월 16일 개최 (0) | 2019.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