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등 월 700만원, 연금당첨자(1~2등) 대폭 확대
1_신상품 출시
복권위원회는 '20.4.30.(목) 17:00부터 신상품 '연금복권 720+' (월 7백만원/20년)를 출시할 예정임
(기존 연금복권 '520' 폐지)
이번 상품은 전국 복권판매점(9,383개)*과 동행복권 홈페이지(www.dhlottery.co.kr, PC/모바일)에서
구매 가능함
* 판매점에는 유통 시간을 고려하여 '20.4.14.부터 미리 신상품을 공급(판매) 함
< 연금복권 720+ 개요 >
연금복권 520 | 연금복권 720+ | |
구매가격(1매) | 1,000원 | |
1등 당첨금 | 월 500만원 / 20년(2명) | 월 700만원 / 20년(2명) |
2등 당첨금 | 일시금 1억원(4명) | 월 100만원 / 10년(8명) |
보너스 추첨* | 없음 | 월 100만원 / 10년(10명) |
추첨 방송 | 수요일 19:30(MBC 드라마넷) | 목요일 12:20(MBC 지상파) |
* 상품 설계상 당첨자 숫자가 고정되어 보너스 방식을 통해 연금당첨자를 확대함
2_출시 배경
현행 연금복권 520은 '11. 7월 출시 초기 연금형 복권에 대한 소비자 기대로 인해
상품이 매진될 만큼 인기가 높았으나,
점차 소비자 관심이 하락하여 '14년 이후 판매량은 발행량(연 3,276억원)의
30%수준에서 정체됨
* 판매율(%) : 11년 100, 12년 65.5, 13년 37.4, 14년 29.7, 18년 31.7, 19년 31.4
복권시장이 로또복권에 편중되어 있고, 당첨금 일시지급에 따라
일부 발생하는 사회적 부작용을 고려할 때, 연금복권의 역할이 중요함
연금식 복권 활성화를 통해 로또복권 쏠림현상을 완화하고
건전한 복권문화 조성 및 사회안전망 강화를 추진하고자 함
* '19년 복권 매출 비중(%) : 로또복권 90.1 즉석복권 6.5 연금복권 2.1 전자복권 1.3
3_신상품 내용
"당첨금 상향·연금지급 확대"
(1) 1등 당첨금 상향
국민소득 증가 및 해외 유사 복권 상품의 당첨금 규모 등을 고려하여
월 500 → 월 700만원(20년)으로 변경함
1등 당첨금은 현행 상품 출시('11년) 이후 가구소득 증가, 물가 상승 등을 고려하여
현재 기준으로 재설계하고,
해외 연금형 복권* 사례도 참고하여 금액을 설정함
* (독일, Gluckspirale) 월 1,300만원X20년 (미국, CASH 4 LIFE) 월 3,600만원X평생
(2) 연금당첨자 확대
2등 · 보너스 당첨금을 연금 방식으로 개편함
2등은 당첨금*을 일시금에서 연금으로 바꾸고 대상자도 확대하였으며,
별도로 보너스 추첨을 도입하여 연금당첨자를 추가함
- 연금당첨자가 현행 연간 1등만 104명에서 1·2등 합계 1,040명*으로 대폭 증가함
* (1등) 주 2명X52=104명 (2등) 주 8명X52=416명 (보너스) 주 10명X52=520명
"상품구조·유통방식 개선"
(3) 상품구조 개편
조(組)를 축소(7→5조)하고, 추첨 및 당첨 방식을 간소화*하여 소비자가 쉽게 복권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음
* (추첨) 9→2회 축소 (당첨) 1회 추첨으로 일치하는 숫자의 개수에 따라 모든 당첨 순위 결정
(보너스 당첨은 별도확인 필요)
(4) 유통방식 개선)
인터넷과 판매점에 같은 번호를 500만매씩 공급하여 고객이 직접 번호를 선택하여 자유롭게 구매 가능함
* 현행 상품은 앞번호 210만매를 인터넷, 나머지 420만매를 판매점에 공급함
4_기대효과
이번 상품개편은 소비자 선호를 반영하여 상품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둔 만큼,
그동안 제기되어 온 구매자 불편사항을 개선하여 건전한 오락·여가 상품으로서
연금복권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음
또한 '연금복권 720+'가 연금 당첨자를 대폭 확대함에 따라
복권의 연금 기능을 강화하고,
연금형 복권의 상품경쟁력을 회복시켜 로또복권으로 쏠려있는
복권시장의 균형 발전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예상함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http://www.moef.go.kr/main.do)
'정부뉴스 > 기획재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재정부] 5월은 소득 신고하는 날, 종합·개인지방소득세 (0) | 2020.05.13 |
---|---|
[기획재정부] 남성 육아참여 부담 줄여요,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0) | 2020.04.28 |
[기획재정부] 이제 온라인으로 신청 하세요! 중기 근로자 특별공급 (0) | 2020.04.14 |
[기획재정부] 영구? 국민? 행복? 공공 임대주택 유형 통합 (0) | 2020.04.03 |
[기획재정부] 나도 좋고 환경에도 좋아 중고품 찾는 소비자들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