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뉴스/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제주,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의 선도적 도입과 국제교육도시에 고등교육기관 유치 적극 지원

- 안도걸 기획재정부 2차관 탄소없는 섬 제주 혁신성장 현장방문

 

안도걸 기획재정부 제2차관은 4월 15일(금) 제주도를 방문,
CFI 2030(Carbon Free Island)* 선언('12.5월), 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 등
글로벌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대전환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주요 혁신 프로젝트 현장을 점검하고
중앙정부의 재정지원 방안을 논의하였음
* CFI 2030 : '30년까지 100% 신재생에너지 전환, 85% 전기차 대체 등 추진


<현장방문개요>  

▸(일시·장소) 4.15(금), CFI에너지미래관, 풍력발전단지, 첨단과학기술단지, 영어교육도시 등  
▸(참석자) 기재부2차관, 제주도미래전략국,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제주에너지공사 등  
▸(논의사항)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전환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 기업의 유기적 협력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재정협력방안 협의

먼저, 안 차관은 CFI미래관과 풍력발전센터(제주시 구좌읍)를 방문하고, 
탄소중립이 글로벌 新질서로 자리 잡고 2030 NDC* 이행이 본격화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 등을 위한 정부와 지자체간 협력체계 구축이 중요하다고 강조함
*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ationally Determined Contributions)

정부는 '22년 탄소중립예산으로 11.4조원을 반영하여, 
산업·에너지 등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과 피해산업·계층·지역의 공정전환 등을 지원하고

내년 예산부터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편성을 목표로 온실가스감축 대상사업을 선별하고
사업별 정량·정성적인 감축효과 분석을 토대로 투자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재원을 배분하겠다고 밝힘

또한 제주도가 선도적으로 내년 예산부터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의 시범 편성을 준비하고 있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기획재정부와 제주도 간에 긴밀한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온실가스감축인지 예산제도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나가기로 협의하였음

 

제주도 디지털 클러스터를 지역균형발전의 혁신모델로 확산

이어서, 안 차관은 1차 첨단과학기술단지(아라동)와
현재 조성 중인 2차 첨단과학기술단지(월평동)를 방문하여, 

1차 기술단지*의 경우
IT 관련 디지털 경제를 선도하는 하드웨어·소프트웨어 및 SNS 핵심 기업**이 다수 입주하여,
자생적 생태계를 형성한 "미니 판교 밸리"와 같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모범사례라고 평가하며
* (분양) 100%, 카카오 등 25개社, (임대) 95%, 168개社 입주  
  (‘20년입주기업매출액) 약 3조 9천억 원 (고용인원) 2,847명  
** 제조업(의료, 신재생에너지 등) 연구개발(자율차, 자연/사회과학), IT기업(인터넷 포털 등)

현재 조성 중인 2차 기술단지도 적극 지원하여
「제주형 디지털 클러스터」가 새로운 지역균형발전의 성공모델로 타 지역에 확산되도록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언급함

아울러, 안 차관은 제주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자율주행 서비스 플랫폼 구축사업 역시
탄소중립 구현을 위한 선도 프로젝트로서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힘

 

영어교육도시 2단계 도약 지원

끝으로 안 차관은 제주도가 지난 15여년간 추진해온 영어교육도시 조성 사업이
국제자유도시로의 기능에 필요한 핵심 교육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해왔다고 평가하였음

특히 4개 초·중·고 국제학교를 유치해 현재 4,543명 국내외 학생이 재학* 중이며, 
외국인 유학생 유치(최근 5개년 평균 336명), 해외 유학 수지 절감('21.9월 기준, 9,687억원) 등 
정책 효과를 거양했고, 
* 졸업생 대부분(약 90%)이 해외로 진학, 그 중 과반이 세계 100대 대학 입학(캠브리지, 런던, 코넬, 시카고大 등)

이러한 성과를 토대로 앞으로 유치교육기관을 대학교까지 확대해
동아시아 국제 교육메카로 도약하려는 제주도의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중앙부처에서도 제도적·재정적 지원 노력을 다할 것임을 강조함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www.moef.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