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세제실 이용주 소득법인세정책관이 12.19일(월)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내
조세정책·행정 분야 이슈를 담당하는 재정위원회 이사회의 이사로 선임됨
(임기: '23~'25년, 총 3년)
재정위원회 이사회(CFA Bureau*)는 총 12명으로 구성되며,
국제·국내 세금 이슈를 포함해 조세 정책·행정과 관련한 향후 OECD 논의방향 등을 결정
* OECD 내 조세분야 정책·행정 관련 실무작업방향·예산배정 등
재정위원회(CFA, Committee on Fiscal Affairs)의 논의방향을 조율
아울러, 소속 이사는 디지털세 협상을 주도하는 포괄적 이행체계(IF, 142개국)의
운영위원회(SG, 24명) 위원 자격도 함께 부여됨
▶ 포괄적 이행체계(IF, Inclusive Framework): G20/OECD 주도로 전세계 142개국이 참여하여 디지털세 협상과 조세회피(BEPS) 대응 등 국제조세개혁을 추진중 ▶ 운영위원회(SG, Steering Group): 총 24명(CFA 이사 12명과 개도국 대표 12명)으로 구성되어 142개국이 참여한 실무작업반의 미합의 쟁점 등을 결정하는 상위 의사결정기구 - 즉 실무작업반 논의→ 운영위원회 결정 → IF 총회 최종 승인하는 구조로, 운영위는 디지털세 협상의 핵심쟁점, 논의방향 및 최종합의안을 사실상 결정하는 핵심 기구 |
한편, 한국(고과효 세제실장, '20~'22년)을 포함한 일부 이사의 임기 만료 등에 따른
6개의 공모 직위에 우리나라, 미국, 일본 등 9개국이 지원하여
- 재정위원회 의장 추천 및 OECD 회원국의 심의를 거쳐
이용주 정책관을 비롯한 아래 6명이 이사로 최종 선임됨
국가 | 소속 및 직위 | 이름 |
한국 | 기획재정부 소득법인세정책관 | Mr. Yong Ju Lee |
일본 | 재무성 국제조세정책 차관보 | Mr. Atsushi Komiya |
미국 | 재무부 조세정책 자문관 | Mr. Michael Plowgian |
독일 | 재무부 국제조세국장 | Mr. Martin Kreienbaum |
스페인 | 재무부 조세정책국장 | Ms. Maria Jose Garde |
핀란드 | 재무부 조세정책국장 | Ms. Terhi Jarvikare |
우리나라가 계속해서 OECD 국제조세 논의 주도할 것으로 기대
이용주 정책관은 기획재정부 소득세제과장, 재산세제과장, 환경에너지세제과장,
다자관세협력과장 등 세제실 주요 보직을 두루 맡았으며,
국세청 서울 강서세무서장,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등
국세행정과 거시경제정책의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도 겸비
- OECD의 국제조세, 조세정책 등 관련 논의에서 전임 재정위 이사인 고광효 세제실장에 이어
우리나라가 계속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
기존 국별 순환 관례 등을 감안할 때 우리나라의 이사직 "연임"은 최초*이자 이례적인 결과로,
조세분야 국제규범 논의에서 그간 한국의 적극적인 참여·노력으로
우리나라의 국제적 위상이 올라간 결과로 평가
* 과거 우리나라의 OECD 재정위 이사 진출사례:
(‘10~’11)김낙회 조세기획관, (‘13~’15)최영록 조세기획관, (‘20~’22)고광효 소득법인세정책관
앞으로 OECD의 조세분야 규범 논의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기대
- 특히, 내년 상반기 필라1 협상완료, '24년 필라1 시행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세를 비롯하여
국제조세 환경이 급변하는 시기에 국제규범 논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우리 입장을 반영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
한편, 국제조세정책관 신설(12.27일 시행예정)을 계기로
국내 조세제도와 국제조세 간 유기적 연계도 강화할 계획
앞으로 정부는 국제조세개혁 논의에서 한국의 역할을 지속 확대하면서
① 우리 의견을 반영한 국제조세규범 마련
②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국내 조세제도 개편* 등
국내·외 제도 간 시너지를 강화해 나갈 계획
* (내년) 유산취득세 도입 등 상속세 과세체계 개편 등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www.moef.go.kr)
'정부뉴스 > 기획재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재정부] 기획재정부 외청 업무보고 실시 (0) | 2023.01.10 |
---|---|
[기획재정부] 부처별 핵심임무 성과지표·달성도 공개 및 12대 핵심재정사업 집중 관리 등 성과관리체계 개편 (0) | 2023.01.03 |
[기획재정부]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SP) 정책사례 가이드' 세미나 개최 (0) | 2022.11.16 |
[기획재정부] 경제혁신파트너십프로그램(EIPP) 홈페이지 개설 (0) | 2022.11.06 |
[기획재정부] 법령상 수의계약을 통해 국유재산을 매각하는 경우에도 감정평가를 통해 공정한 시장가치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0) | 2022.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