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_ 갱신 요구권의 행사
1) 임차인은 언제부터 임대인에게 계약갱신요구를 할 수 있는지?
▶ 임대차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청구
▶ 계약갱신청구권 행사기간 관련 개정사항(1개월 전→2개월 전, '20.6.9)은
'20.12.10. 이후 최초로 체결하거나 갱신된 계약부터 적용
2) 임차인에게 총 몇 회의 갱신요구권이 부여되는지?
▶ 갱신요구권은 1회에 한하여 행사 가능하며, 2년 보장
3) 묵시적 갱신도 갱신요구권 행사로 보는지?
▶ 그렇지 않음.
개정 법률에 따른 계약갱신요구권 행사의 명확한 의사표시를 하는 경우로 한정됨
※ (CASE) 임차인 甲과 임대인 乙이 '17.9월~'19.9월까지 최초 전세계약을 맺었고,
묵시적으로 '19.9월~'21.9월까지 갱신된 경우에도
임차인 甲은 임대인 乙에 대하여 계약갱신요구권행사 가능
4) 법 시행 시 잔존기간만 있으면 모두 갱신요구 할 수 있는지?
▶ 가능함.
기존 계약의 연수에 상관없이 1회 2년의 갱신권 부여함
다만, 계약기간이 1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함
('20.12.10. 이후 최초로 체결하거나 갱신된 계약은 2개월 이상)
5) 법 시행 이후에 계약기간이 만료되는 경우,
('20.12.10. 이후 최초로 체결하거나 갱신된 계약은 2개월 이상)
① 임대인이 계약만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갱신을 거절하고,
법 시행 전에 제3자와 새로운 임대차 계약을 맺은 경우에도
임차인이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 불가능함.
이번 개정 법률은 존속중인 계약에도 계약갱신요구권을 부여하되 법적안정성을 위해
제3자와 계약이 旣체결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갱신요구권을 부여하지 않는 부칙 적용례를 두고 있음
▶ 다만, 임대인은 법 시행 이전에 제3자와 계약을 체결했다는 사실을 명시적으로 입증할 수 있어야 함
(계약금 수령 입증, 계약서 등)
▶ 임대인이 법 시행 이후에 제3자와 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계약갱신요구권이 부여되며,
임대인이 제3자와의 계약체결을 이유로 임차인의 계약갱신 요구를 거절할 수 없음
② 임대인이 계약만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임차인에대해 갱신거절만 한 경우,
계약갱신요구를 할 수 있는지?
▶ 가능함
③ 임대인이 계약만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임차인과 합의를 통해
이미 계약을 갱신한 경우에도 개정 법률(5% 임대료 증액상한 적용)에 따른 계약갱신요구를 할 수 있는지?
▶ 가능함
▶ 다만, 임차인은 임대인과 갱신한 계약을 유지하고,
해당 계약의 계약기간 만료 시점에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가능
※ (CASE) 임차인 甲과 임대인 乙이 '18.9월~'20.9월까지 최초 전세계약을 맺었고,
'20.6월에 상호간 합의로 '20.9월~'22.9월까지 갱신을 실시하면서 임대료 8% 증액
⇒ 임차인 甲은 '20.8월(계약종료 1개월 전)에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하며 5% 미만으로 임대료 조정하거나,
⇒ 8% 증액한 기존 임대차 계약관계를 유지하면서 계약기간 만료 시점인 '22.7월(계약종료 2개월 전)에
임대인 乙에 대한 계약갱신요구권 행사 가능
6)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시 임차인은 무조건 2년을 거주해야 하는지?
▶ 그렇지 않음.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게 계약해지를 통지할 수 있으며,
임대인이 통지 받은 날부터 3개월 지나야 효력 발생
※ 임차인은 계약해지를 통보하더라도 계약만료 전이라면 3개월간 임대료 납부해야함
2_ 갱신의 거절
1) 임대인이 갱신을 거절할 수 있는 경우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2) 임대인이 목적 주택에 실제 거주하려고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 임차인에게 직접 거주 필요성을 계약만료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통보하고 입주
3) 임대인의 직접 거주 사유가 허위인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지?
▶ 임차인은 개정 법률에 따라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음
※ 허위의 갱신 거절 시 손해배상액 산정
① 임대인과 임차인 간 손해배상 예정액
② "①"이 없는 경우 법정 손해배상 예정액 중 가장 큰 금액
1) 갱신 거절 당시 월단위 임대료(전세금은 전액 월세로 전환, 법정 전환율 4% 적용) 3개월분에 해당하는 금액
2) 『임대인이 새로운 임차인에게 임대하여 얻은 월단위 임대료 - 갱신 거절 당시 월단위 임대료』의
2년 분에 해당하는 금액
3) 갱신거절로 인해 임차인이 입은 손해액
3_ 임대료 상한
1) 임대료 상한 제한(5% 이내)은 언제 적용되는 것인지?
▶ 임대료 제한은 존속중인 계약에서 임대료를 증액하거나 계약갱신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에만 적용
2) 임대인이 요구하면 5%를 무조건 올려주어야 하는지?
▶ 그렇지 않음.
5%는 임대료를 증액할 수 있는 상한일 뿐이고 임대인과 임차인은 그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협의를 통해
임대료를 정할 수 있음
3) 지자체가 5% 이내에서 조례로 달리 정할 수 있는데, 지역별로 달라지는 임대료 상한은 언제 마련되는지?
▶ 지자체가 별도로 정하지 않으면 5% 이내가 적용되며, 지자체가 별도로 5% 이내에서 설정 가능
4)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시 전세 → 월세 전환이 가능한지?
▶ 개정 법률 상 갱신되는 임대차는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계약된 것으로 보므로
전세→월세 전환은 임차인 동의 없는 한 곤란
▶ 다만, 동의에 의해 전환하는 경우에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의2에 따른 법정 전환율*이 적용됨
* (법정전환율) 보증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월 단위 차임으로 전환하는 경우에는
"10%"와 "기준금리(現0.5%)+3.5%" 중 낮은 비율을 적용
※ (CASE) 계약갱신청구권 행사 시 전세→월세 전환 예시
(전세 5억원) → 보증금 3억원 월세 67만원 or 보증금 2억원 월세 100만원
4_ 집주인 변경
1) 계약갱신청구권 제도가 도입되는 경우, 임차인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은 매도할 수 없는지?
▶ 사실이 아님.
임차 중인 주택의 매도는 아무런 영향없이 가능함
2) 법 시행 이전에 집주인이 바뀌고,
기존 임차인이 계약만료 6개월 前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계약갱신 요구 가능한지?
▶ 가능함
3) 법 시행 이전에 집주인이 바뀌고, 바뀐 집주인이 직접거주를 희망하는 경우,
기존 임차인의 계약갱신요구를 거절할 수 있는지?
▶ 가능함
다만, 계약만료 6개월 前부터 1개월 전까지 기간에 갱신 거절의 의사표시를 하여야 함
원문 출처 : 기획재정부 누리집(www.moef.go.kr)
'정부뉴스 > 기획재정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획재정부] 알고 납부하자 주민세 균등분 (0) | 2020.08.19 |
---|---|
[기획재정부] 승용차도 가능해요! 캠핑카 튜닝 (0) | 2020.08.12 |
[기획재정부] 코로나19 대응, 국유재산 사용부담 추가 완화를 위한 국유재산법 시행령 개정안 국무회의 의결 (0) | 2020.07.28 |
[기획재정부] 2020학년도 2학기 학자금대출 대출금리 추가 인하 (0) | 2020.07.20 |
[기획재정부] 전 업종으로 확대된 무급휴직 신속지원 프로그램 (0) | 2020.07.14 |